안녕하세요, 엔지니어 블로그의 글랜입니다.
오늘은 C언어 변수 선언하기 코드 작성 및 분석 진행해보겠습니다.
1. 변수 선언 - 코드 작성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
상기 그림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여 빌드 - 프로그램 실행을 진행합니다.
실행 결과, "a의 값은 : 7"이라는 문장이 출력 되었네요.
2. 변수 선언 - 코드 분석
해당 코드를 분석해보겠습니다.
int a;
이 문장의 뜻은 a 라는 변수를 사용할 것이라고 컴파일러에게 알리는 의미입니다. 정확히는 int 형의 데이터를 보관한다는 의미로, a에 -2147483648에서 +2147483647 까지의 정수를 보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초과하는 숫자는 보관 불가능합니다. 초과하는 숫자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표를 참조하여 다른 데이터 형식을 사용해야합니다.
Name | Size | Range |
char | 1byte | signed : -128 to 127 unsigned : 0 to 255 |
short int | 2bytes | signed : -32768 to 32767 unsigned : 0 to 65535 |
int | 4bytes | signed : -2147483648 to 2147483647 unsigned : 0 to 4294967295 |
long int | 4bytes | signed : -2147483648 to 2147483647 unsigned : 0 to 4294967295 |
bool | 1byte | true or false |
float | 4bytes | +/- 3.4e +/- 38 (~7 digits) |
double | 8bytes | +/- 1.7e +/- 308 (~15 digits) |
long double | 8bytes | +/- 1.7e +/- 308 (~15 digits) |
a = 7;
위 문장의 의미는 한눈에 알아 보실 수 있듯이, 변수 a에 7을 넣는다는 의미입니다.
printf("a의 값은 : %d \n",a);
printf는 익숙한 함수일텐데요. 그 중 %d의 의미는 " " 다음에 오는 첫번째 변수(a)를 10진수로 출력하라는 의미입니다.
3. 2022를 8진수, 10진수, 16진수로 표현하는 코드 작성, 프로그램 실행, 코드 분석
그렇다면, 2022를 8진수, 10진수, 16진수로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봅시다.
상기 그림과 같이 코드를 작성해주고 빌드 - 프로그램 실행해봅시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러면 정상적으로 8진수, 16진수로 나왔는지 확인해봅시다.
http://www.hipenpal.com/tool/binary-octal-decimal-hexadecimal-number-converter-in-korean.php
진수 변환기 - Hi!Penpal!
2진수,8진수,10진수,16진수,32진수를 상호 변환 가능합니다.
www.hipenpal.com
직접 계산해봐도 되지만.. 귀찮으니 변환기를 통해서 확인해보면,
2022를 8진수로 변환하면 3746이 맞네요.
2022를 16진수로 변환하면 7e6이 맞구요.
이렇게 변수 선언에서 정수형, 8진수, 10진수, 16진수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확인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실수형 변수와 printf 의 나머지 형식을 확인해보도록 할게요..!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2557] Hello World 문제풀이 / 정답 / 코드 (0) | 2022.09.15 |
---|---|
[C언어] 계산하기 (산술 연산자, 산술 변환, 대입 연산자, 증감 연산자) (0) | 2022.02.02 |
[C언어] 실수형 변수 선언, printf의 또다른 형식, 변수 작명하기 (0) | 2022.02.02 |
[C언어] Hello World! (#include, int, printf, return에 대해), 새 프로젝트 만들기 (Visual Studio 2022) (0) | 2022.02.01 |
[C언어] Visual Studio 2022 무료 다운로드 방법, 버전별 비교 (0) | 2022.01.21 |